
건강한 삶은 지금의 나를
바로 알 때 지킬 수 있습니다.
바로 알 때 지킬 수 있습니다.
질병의 조기 발견을 넘어 개인의 질병 발생을 미리 예측하고 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새로운 검진시스템을 제안합니다.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새로운 검진시스템을 제안합니다.

행복한 미래를
지키는 건강검진
지키는 건강검진
고객을 생각하는 GC녹십자아이메드의 마음은 앞으로도 변함없이 계속됩니다.

고객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
건강검진 서비스
맞춤형 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평생 밀착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향합니다.

소비자가 선택한
최고의 건강검진센터
최고의 건강검진센터
최첨단 시설과 전문 인력을 갖춘 소비자가 선택한 최고의 건강검진센터입니다.
센터소개




의학칼럼
의학칼럼 더보기-
밀가루 속 글루텐은 요리방법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feat.라면 끓이는 법과 글루텐)
글루텐, 요리방법으로 줄인다?! ●채널구독 : https://www.youtube.com/channel/UCzwcGZyU3RKt8-uOBExQD4Q [밀가루와 만성소화불량 2편] '밀가루 음식을 정말 먹고 싶다면?' '이제 밀가루 속 글루텐을 요리방법으로 줄이자!' 밀가루 속 글루텐은 글리아딘과 글리테닌 50:5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글리아딘과 글루텐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쫄깃함과 탄성, 부드럽고 바삭한 맛을 결정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밀가루는 강력분/중력분/박력분으로 나뉘는데요. 각 밀가루마다 쓰이는 요리용도가 다르고 어떤 것을 더 첨가하느냐에 따라 맛 또한 결정된다는 사실! 하지만, 이러한 글루텐이 맞지 않거나 소화시키지 못하는 사람들은 밀가루 음식을 먹으면 소화불량 증상을 유발하게 되는데요. 특히 우리가 즐겨먹는 라면 속 글루텐과 소화불량은 라면을 어떻게 끓이고 먹는지에 따라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1)찬물 끓이기vs끓인 물 (2)스프vs면 먼저 넣는 순서 (3)오래 끓이기vs빨리 끓이기 (4)면치기vs천천히 먹기 (5)뜨겁게 먹기vs식혀 먹기 과연 이것들 중 어떤 방법들이 라면 속 글루텐을 줄이고 소화불량 증상까지 줄일 수 있을까요? 오늘은 가정의학과전문의 김상만 원장님과 함께 밀가루의 성분과 특징은 물론 밀가루 음식 속 글루텐을 줄이는 요리방법(라면 끓이는 법)은 무엇인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목차] 1.밀가루의 성분과 특징은? (글루텐=글리아딘+글루테닌) 2.밀가루 음식을 정말 먹고 싶다면? (글루텐과 요리방법,강력분/중력분/박력분) 3.부침가루vs튀김가루의 각 특징과 차이는? 4.라면 끓이는 법과 글루텐 -
밀가루 음식은 정말 먹으면 안되나요?
밀가루 음식은 정말 먹으면 안되나요? ●채널구독 : https://www.youtube.com/channel/UCzwcGZyU3RKt8-uOBExQD4Q [밀가루와 만성소화불량 1편] ‘밀가루 음식은 먹으면 안 되나요?’ 만성소화불량으로 고생하는 많은 현대인들이 자주 하는 질문 중 하나인데요! 이에 대한 답을 위해서 우선 밀의 구조를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밀은 밀기올(껍질)/배유/씨눈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대표적인 성분이 바로 여러분도 잘 아시는 글루텐이라는 단백질입니다! 무엇보다 밀가루 음식을 먹었을 때, 가스가 많이 찼던적 많으시죠? 이 가스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 또한, 밀의 구조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요. 바로 껍질의 단백질인 렉틴, 프록탄 혹은 포드맵이라고 불리는 밀가루 성분들 때문이라고 합니다. 밀의 성분은 식량으로 매우 좋은 단백질이지만 음식 감수성과 음식 불내성에 의한 몸의 면역체계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이러한 밀가루 음식을 꼭 먹지 말아야 하는건 아니라는 사실! 밀가루 음식을 먹어서 소화에 문제가 없다면 먹어도 되지만, 밀가루 음식을 먹었을 때 가스가 차거나 설사를 한다면, 밀가루 음식은 STOP! 그렇다면, 오늘은 가정의학과전문의 김상만 원장님과 함께 밀가루 음식은 왜 소화가 잘 안되는지, 정말 먹어선 안되는지와 포드맵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목차] 1.밀가루 음식에 관한 질문들 2.밀가루 음식은 가루인데 왜 소화가 안되나요? 3.밀가루 음식은 먹으면 안되나요? 4.포드맵(FODMAP)이란? -
[음식 질환과 부신기능저하증 2편] 부신기능저하증, 음식 질환부터 치료하라고요?! (feat.음식 알러지와 불내성)
부신기능저하증, 음식 질환부터 치료하라고요?! ●채널구독 : https://www.youtube.com/channel/UCzwcGZyU3RKt8-uOBExQD4Q '음식 질환과 부신기능저하증 2편' 저번 시간에 이은 음식 관련 질환과 부신기능저하증 두번째 시간! 부신기능저하증에도 음식 알러지와 불내성과 같은 음식 관련 질환의 치료가 중요하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부신 호르몬은 면역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굉장히 중요한데요. 음식 알러지와 불내성과 같은 음식 관련 질환을 이겨내지 못하면 면역반응이 일어나고 부신 호르몬을 과다하게 분비/사용하게 되어 부신기능저하증 증상과 장 염증이 더욱 심해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부신기능저하증 환자라면 특히 더 자신에게 맞는 음식과 맞지 않는 음식을 구분해서 먹고 장 염증을 조기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이러한 음식 관련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4R 프로그램’을 통해 'Remove(제거), Replace(보충), Reinoculate(재공급), Repair(복구)' 이렇게 4단계에 걸쳐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만성 소화불량 치료를 위해서는 ‘먹지 말아야 할 음식을 먼저 안 먹는 것’이 치료에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 오늘은 음식 관련 질환과 부신기능저하증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고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와 평소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던 음식 관련 질문에 대한 속시원한 답변까지! 가정의학과 전문의 김상만 원장님과 함께 자세히 알아볼까요? 1.음식 알러지와 음식 불내성의 치료 2.음식 불내성의 중요성은? 3.음식 불내성 검사는? 4.음식과 부신기능저하증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 5.음식 불내성 치료를 위한 4R 프로그램 6.만성 소화불량, 이것만 고치면 대부분 치료됩니다 7.음식과 관련된 흔한 질문에 대한 답변(Q&A 7)